시사 (그 당시에 일어난 여러가지 사회적 사건) 검색 결과, 152
[국제] 대한민국에게 미군이란? - 주한미군 운영경비 분담금 특집 ①
안녕하십니까? 오늘, 이번 포스트는 주한미군 운영경비 분담금 특집, 그 첫 번째 포스트입니다. 사실 지난 17일(일) 첫 번째 포스트가 게재되어야 했었는데 사정상 그러하지 못했습니다.가까운 미래에 소개할 기회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만지난 주말 사이에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느라 시간적 여유가 없었습니다.제 용도에 맞게 시스템을 조금 더 다듬고 나서 여러분께 곧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각설하고 이번에 진행하는 특집 이야기를 해보면 사실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 많은 고민이 있었습니다.지금까지의 특집이 대부분 그러했듯 제 나름의 생각이 있다 보니 그러한 것을 어떻게 담아내느냐도 중요하고지금처럼 OTOH, 다른 의견을 필히 같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균형 잡힌 글을 쓰는 게 중요하기 때문입니다.특집 예고에..[국제] 홍콩 민주화 운동,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 홍콩 민주화 운동 ③
안녕하십니까?오늘, 이번 포스트는 홍콩 민주화 운동에 관한 특집 그 마지막 포스트입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주제넘게 시작한 이번 특집을 주제넘은 이야기로 마무리하겠다고 말씀드렸고 그 이야기를 이렇게 들고 왔습니다.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이렇게 이야기하는 이유, 이번에 홍콩 민주화 운동을 주제로 특집을 진행한 이유에 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이야기지만 조금 이야기해보자면 정치권이 여야로 나뉘어 정쟁을 벌이면서도 '민주'에 관해서는여야가 앞다퉈 이야기하는 모습을 자주 보임에도 불구하고 주변 국가의 어려움을 애써 못 본 척하는 것이 너무나도 아쉬웠습니다.지난 오뉴월 그리고 이번 달 역시 역사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짚지 않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렵게라도 이에 관한 이야기는 하지 않으려는 ..[국제] 홍콩 민주화 운동, 가로막는 걸림돌은 무엇인가? - 홍콩 민주화 운동 특집 ②
안녕하십니까?오늘, 이번 포스트는 지난 21일(월)에 이어 홍콩 민주화 운동 특집 그 두 번째 포스트입니다. 예고한 대로 홍콩 민주화 운동에 관한 두 번째 특집에서는 홍콩 민주화 운동을 가로막는 걸림돌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크고 작은 걸림돌이 상당히 많을 뿐만 아니라 바라보는 사람에 따라 의견이 크게 다를 수 있어 조심스럽습니다만제 주관대로 현재 상황에서 홍콩 민주화 운동이 결실을 보기까지 맞닥뜨릴 수 있는 어려움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여러분이 주시는 모든 의견을 감사하고 겸손하게 받아들이고 필요하다면 그에 관한 이야기도 할 테니 많은 의견 여러 방면으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홍콩 민주화 운동을 가로막는 걸림돌을 알아봐야 할 텐데주제를 생각해볼 때 이전에도 몇 차례 그랬던 것..[국제] 홍콩 민주화 운동, 왜 일어나고 있는가? - 홍콩 민주화 운동 특집 ①
안녕하십니까? 오늘, 이번 포스트는 지난주 월요일인 14일, 예고해드린 홍콩 민주화 운동에 관한 특집 그 첫 번째 포스트입니다. 사실 어제(20일, 일) 게재되어야 할 포스트였는데 사정상 하루 늦게 게재되게 되었습니다. 다행인 것은 조금이라도 정리해둔 것이 있어 어렵지 않게, 더 늦지 않게 게재되게 되었다는 점도 알려드립니다. 홍콩은 과거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체에서 손꼽히는 선진화된 도시였습니다. 이제 20대 후반이라고 할 수 있는 제겐 사전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말이지만 외설적인 표현으로도 홍콩을 이야기한 우리에게는 조금 더 특별한 도시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그러한 홍콩에 최근 변화에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언젠가 '선진화된 도시'라는 표현이 어색해진 홍콩에 아주 의미 있는 변화가 기대되고 ..[방송] Mnet 프로듀스X101 득표수 조작 논란
안녕하십니까? 오늘, 이번 포스트는 지난 7월 중순, 논란이 일었던 Mnet 프로듀스X101 득표수 조작 논란에 관한 포스트입니다. 이전까지 특정 방송에 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없지만 이번 논란의 경우 다수의 참여를 무의미하게 만든 점과결과 때문에 누군가는 피해를 봤을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대처가 미흡해 또 다른 논란을 낳았다는 점에서 특별히 다뤄보려고 합니다. Mnet은 CJ ENM에서 운영하는 채널 중 하나로 잘 아시다시피 2000년대부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악 채널입니다.2010년대부터는 K-POP을 이끄는 아이돌 가수 덕에 아시아 시장은 물론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은 데 이어시청자가 직접 참여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주목받았습니다. 과거에 그리고 다른 채널에서도 쉽..[법] 대법원 '스티브 유 비자 발급 거부처분 부당' 파기환송·· 그렇다면 비자 발급, 입국 될까?
안녕하십니까? 오늘, 이번 포스트는 이야기를 하기 조금 늦은 감도 있지만 한국 연예 활동할 당시 유승준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던 스티브 유 씨에 관한 포스트입니다. 이야기에 앞서 몇 가지 당부 말씀부터 드립니다.이 글을 작성하게 된 이유는 최근 한 아나운서와 이번 글의 조연이라고 할 수 있는 스티브 유 씨 간의 설전과개인적으로 대법원의 판결이 그렇게 옳은 결정이라고 보지 않기 때문이며특정 대상을 향한 혐오감보다는 제 가치관과 너무나도 동떨어져 있는 것 같아 이야기를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한 이유에 비춰 스티브 유 씨를 직접 이야기하기보다 대법원의 판결을 두고 이야기하려 하며관련한 여론 조사가 있기에 이를 바탕으로 깊게 이야기하기 위해 시사, OTOH 카테고리를 선택했습니다. 저와 같이 이 문제를..[정치] '자녀, 사모펀드, 사학재단' 숱한 의혹에도 법무부 장관 후보자 오늘(9일) 임명 강행
안녕하십니까? 이번 포스트는 대통령의 임명 재가로 오늘(9일) 0시부터 임기가 시작된 조국 법무부 장관에 관한 포스트입니다. 서론도 시작하기 전에 한 가지 이야기 드릴 게 있습니다.지난 4월 이후 지금까지 잘 아시다시피 그간 첨예하게 찬반이 갈리는 사안이 없었던 것도 아닙니다만 시사 - OTOH(On the other hand) 카테고리에 글을 게시하지 않은 것은사안마다 여론조사 결과가 크게 차이 나는 경우가 많았고 그렇기 때문에 여론조사 기관의 신뢰성, 여론조사 결과의 신뢰성이 의심받아왔기에 최대한 자제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하지만 이번에 이야기할 주제 역시 여론조사 결과가 기관마다 적지 않게 차이가 나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그렇다면 왜 이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하려고 하느냐고 물으실 수도..[안보] 지소미아 종료·· 지소미아 종료로 인해 우리가 잃게 될 수 있는 것은? - 지소미아 종료 특집 ③
안녕하십니까? 오늘, 이번 포스트는 지난 28일(수)에 이어 지소미아 종료에 관한 특집 그 세 번째이자 마지막 포스트입니다. 지소미아의 정의, 지소미아 종료를 통해 얻게 되는 것에 대해 차례대로 알아봤다면 우리가 잃게 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도 알아봐야 할 겁니다.저는 이미 두세 차례에 걸쳐 지소미아 종료 결정을 신중하게 내렸어야 한다는 입장이라이번 포스트에서 조금 더 제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으며 그렇기 때문에 조금 더 공을 들여 많은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있었던 특집에서도 종종 객관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였던 것을 잘 압니다만제 공간에서 제 의견을 말하고 다른 의견을 가진 분과 소통하고 싶은 그 마음은 변함없으므로이번에도 역시 여러 루트를 통해 제게 여러분의 의견을..[안보] 지소미아 종료·· 지소미아 종료를 통해 우리가 얻는 이익은? - 지소미아 종료 특집 ②
안녕하십니까?오늘, 이번 포스트는 지소미아 종료에 관한 특집 두 번째 포스트로 지소미아 종료를 통해 우리나라가 얻는 이익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게재된 특집 첫 번째 포스트에서 이야기했듯 지소미아 종료가 예상외의 결정인 것을 차치하고 개인적인 생각 자체가 신중했어야 한다는 입장이라지소미아 종료를 통해 우리가 얻는 이익이라는 이번 포스트의 주제에 맞는 다양한 생각을 하기 조금 어려웠던 것도 있었습니다.하지만 분명히 지소미아 종료를 통해 우리가 얻는 이익은 분명히 있다고도 생각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그에 관한 이야기로 여러분과 함께하겠습니다. 일본과의 지소미아(GSOMIA, 군사정보보호협정)를 종료함으로써 우리가 얻는 첫 번째 이익은일본의 무례한 행동에 단호하게 대처함으로써 추후 논의할 과거사 문제나..K_____h_Y___
제가 보고 느끼는 모든 것을 이야기합니다. 보다 많은 사람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보다 좋은 글을 쓰고 싶습니다. 보다 노력하는 블로거가 되겠습니다.